본문 바로가기

2023_국민대/소프트웨어적사고7

[python] 조건문 제어 구조 순차 구조: 명령어들이 순차적으로 실행 선택 구조: 둘 중의 하나의 명령을 선택하여 실행 반복 구조: 동일한 명령이 반복되면서 실행 선택 구조(조건문) 선택문 선택문의 형태 if if ~ else if ~ elif if ~ elif ~ else if ~ in ~ else 등등 파이썬 선택문 규칙 if 문의 조건식들은 논리 연산이 가능한 문장으로 True, False 판별이 가능하도록 작성 if 문의 조건식 끝에는 항상 콜론( : )이 있어야 함 실행 코드는 반드시 공백(스페이스바 or Tab)으로 들여쓰기(indent)를 하여 if문에 포함(종속)되는 코드로 작성 이때 들여쓰기 위치 주의 조건문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 조건문이 만족하면 True, 만족하지 않으면 False 값을.. 2023. 4. 10.
[python] 컬렉션 자료형 컬렉션 자료형 자료형: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 컬렉션: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으며, 변수 내에 공간을 여러 개 가지며, 변수 안에 서로 다른 공간을 찾는 방법이 있음 컬렉션 자료형 종류 생성 방법 리스트 list [] 튜플 tuple () 딕셔너리 dictionary {key : value} 세트 set { } 리스트 list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한 번에 모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저장 하나의 리스트 변수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처리 대괄호[ ] 안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을 콤마(,)로 구분해 하나 이상의 데이 터를 저장 요소 element: 리스트의 대괄호 [ ] 안의 데이터 # 리스트 사용 list_name = [value1, va.. 2023. 4. 10.
[python] 입력과 출력 input() 함수 print() 함수와는 반대의 기능 괄호 안의 데이터를 문자열로 받아 컴퓨터에 입력하는 함수 변수 선언해서 입력 받는 것도 가능 괄호 안에 프롬프트 문자열 넣기 가능 프롬프트 문자열은 사용자를 도울 뿐, 출력에 영향 미치지 않음 print() 함수 input() 함수와 반대의 기능 괄호 안의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출력하는 함수 이스케이프 문자 주로 출력물을 보기 좋게 정렬하는 용도로 사용 역슬래스 문자(\) 이용 표현 의미 \n 줄바꿈(개행) \v 수직 탭 \t 수평 탭 \r 캐리지 리턴 \f 폼피드 \a 벨 소리 \b 백 스페이스 \000 널문자 \\ 문자 "\" \' 단일 인용부호(') \" 이중 인용부호(") 주석 실행되는 코드는 아니지만 프로그램에 남기는 주석 목적, 작.. 2023. 4. 9.
[python] 연산자 사칙연산 파이썬에 크게 3종류의 수치 데이터 존재 int: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 ex) 123 float: 실수를 표현하는 자료형 ex) 1.23 complex: 복소수를 표현하는 자료형 ex) 3+2j 사칙연산(operations) & 연산자(operator)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 % 나누기 연산 정수 나눗셈: // 실수 나눗셈: / 나머지: % 거듭제곱 연산 거듭제곱: ** a ** b → a의 b제곱 ex) 2**3 → $2^3$ = 8 e-표기법 (e-notation) 소수와 10의 제곱승 이용 e+10 → 10의 10제곱 e-05 → 10의 -5제곱 대입연산자 (= 할당연산자) 특수부호 = 사용 다양한 축약 형태 지원 +=, -=, *=, /=, **=, //=, %=.. 2023. 4. 9.
[python] 자료형 자료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 등 많은 내장형 자료형이 기본으로 존재 정수형 integer 수학에서 정수로 정의되는 수들의 집합 1 → 정수형 / 1.0 → 실수형 으로 분류 2진수, 8진수, 16진수 → 정수형으로 분류 ex) 0b1010, 0b1110111, 0o123, 0xabc 정수형 변환 int() ex) int('2023') → 2023 정수형,실수형,불린 → 정수형 - int() 가능 문자열 → 정수형 - 일부 문자열만 가능 실수형 float 수학에서 실수로 정의되는 수들의 집합 실수형 변환 float() ex) float('2023') → 2023.0 정수형,실수형,불린 → 실수형 - float() 가능 문자열 → 실수형 - 일부 문자열만 가능 파이썬 version.. 2023. 4. 9.
[python] 변수&식별자 변수(variable) 변하는 수, 기억장소, 저장공간 →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어떤 상황 or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자료(데이터)를 담아 두기 위해 사용 변수명 '변수명 = 값' 형식으로 사용 특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소의 이름 변수의 종류 숫자형(정수, 실수) 문자형(문자열형) 부울(bool) 리스트(list) 딕셔너리(dictionary) 등등.. 변수 사용하는 이유 → 기억장치(메모리)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 변수 특징 일시적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공간 변수에 저장된 값은 변할 수 있음 변수에 숫자, 문자열 등 모든 자료형 저장 가능 변수에는 다른 변수의 값도 저장 가능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 변수는 사용전 반드시 할당되어 있어야 함 식별자(identifier) 변수, 객체, 함수, .. 2023. 4. 9.